전체 글 4

[Git] 원격 브랜치 가져오고 checkout하기

개발을 진행하다보면 Github에서 새로운 Branch를 만들고 Local에서 이용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 과정은 보통 세 순서로 이루어진다고 보면 되는데 remote의 정보 최신화 -> remote branch 조회 -> 해당 branch를 가져온 후 checkout 의 순이다. remote의 정보 최신화 git remote update remote의 branch정보들을 최신화해준다. remote branch 조회 git branch -r git branch -r 은 현재 remote에 어떤 branch들이 존재하는지 알려준다. remote branch 조회 만약 origin/feature-test-branch가 remote에 존재하고 있고 이걸 불러오고 싶다면 git checkout -t orig..

유용팁/Git 2022.12.19

[Git] Git prune이란?(Local에서 Remote에 없는 브랜치 제거)

문제 상황 : Repo에서 특정 브랜치에 Feature를 만들고나서 main과 merge하고 나서 삭제를 하더라도 Local에서는 해당 브랜치가 존재하는 상황.(git remote update를 작성하더라도 Local의 정보들은 지워지지 않음) 해결 방법: git remote prune origin Prune : 잘라 내다, 없애다라는 뜻으로 git remote prune origin은 Remote에 존재하지 않는 브랜치들을 Local에 반영하여 가지치기 하듯이 삭제를 진행해준다. git fetch --prune git fetch --prune 도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Git remote update와의 차이점은? git remote update Remote에 존재하는 브랜치들을 가져오기만 할 뿐 삭제..

유용팁/Git 2022.12.19

[Python] 람다(lambda) 함수

코딩 테스트를 풀다보면 이중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기준으로 sorting 을 진행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아래와 같이 lambda를 쓰는 경우를 많이 봐왔고 의문이 생겼다. 왜 사용하는 걸까? _list = [[1,70],[15,23],[7,164],[34,6],[2,10]] _list.sort(key= lambda x:x[1]) print(_list) Result 파이썬에서는 lambda 함수를 이용하여 이름없는 함수인 익명 함수를 만들 수 있다. 아래는 매개변수에 increment하는 익명함수이다. ※ lambda 정의방법 = lambda x: x+1 뒤에 x+1 자리에 원하는 기능들을 작성하면 된다. ​ 일반적인 함수 작성법을 사용하면 되는데 왜 lambda 함수를 사용하는 걸까? 가장 큰 이유는 코드..

[2022년형 NEW 그램 사전예약] 드디어 탑재된 인텔 12세대

소문만 무성하던 인텔 12세대 탑재 22년형 그램이 드디어 출시되었습니다! 11세대에 비해 높은 성능으로 유명한 12세대 인텔 CPU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기대하셨던 걸로 압니다. 일단 큰 변화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존 22년형 그램 22년형 New 그램 CPU 인텔 11세대 인텔 12세대 그래픽 카드 내장 그래픽 외장 그래픽(RTX 2050) or 내장 그래픽 모니터 패널 글레어 IPS 안티글레어 IPS 그램 모델들 중 처음으로 그래픽 카드를 탑재하였는데 RTX 2050이 탑재되어서 그래픽 작업하시는 분들에게는 매력적일 것 같습니다. 패널 같은 경우에도 기존 글레어 IPS에서 안티글레어 IPS로의 변경을 희망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반영이 되었네요 CPU같은 경우도 12세대로 업그레이드가 되었기 때문에..